식물은 기공을 통하여 증산이나 식재 용토 표면으로 수분을 증발시키는데 이로 인해 실내의 습도가 조절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실내에 식물을 공간대비 9%를 배치할 경우 10%의 상대습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대기가 건조할 경우 증산과 증발량이 증가하며, 습할 경우 감소하는 자기조절늘력이 있는데, 증산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중습도는 완전히 무균한 상태입니다.
더불어 식물의 종류와 배치 방법, 그리고 배치하는 양에 따라 실내 환경의 온도와 습도가 달라지게 됩니다.